신변잡기 et cetera

실리콘밸리 프로세스의 힘, 신재은 님 인터뷰 요약

순한맘 2025. 4. 2. 17:00
반응형

실리콘밸리와 한국 기업의 차이는?

실리콘밸리 기업은 템플릿을 사용해 업무 오너십을 명확하게 관리하며, 책임 소재가 뚜렷하죠.
업무 내용은 조직 내에 투명하게 매주 공유되며, 이는 개인의 책임을 강화해요.
한국 기업의 업무 분배 시스템은 비효율적으로, 인형에 눈 붙이는 작업처럼 단순화되어 있어요.
'실리콘 밸리 프로세스의 힘'의 신재은 대표는 실리콘밸리 프로세스와 한국의 차이를 분석하고 있죠.
실리콘밸리의 업무 시스템은 명확한 오너십과 투명한 정보 공유를 통해 업무 효율성을 높인답니다..
 

아마존이 원하는 PM 인재상은?

아마존은 진취적이고, 문제 해결력이 뛰어난 인재를 원하고 있으며, 해당 인재상에 부합하는 행동 양식이 중요해요.
창업 경험에서 리크루팅, 사업 모델 개발, 투자 유치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진취적인 업무 성향을 보였고, 이로 인해 아마존에서 요구하는 PM 인재상에 적합하다고 평가받았죠.
창업 결정을 내린 이유로는 리스크 테이킹, 경험 축적, 그리고 재무적 가능성 검토가 있었어요.
창업 실패를 통해 다양한 사람들과 협력하고 추진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배우게 되었고, 이는 관점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죠.
현대카드에서의 경험은 외국계와 한국 기업 간의 문화적 차이를 경험하게 해주었으며, 국내 최초의 해외 송금업 비즈니스를 추진하는 기회를 제공받았어요..
 

핀테크 활성화를 위한 정부 승인 과정은?

영국과 한국 간의 독점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기재부에서 승인이 지연되었어요.
기재부와의 논의에서 고객들에게 큰 혜택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송금 수수료 인하의 필요성을 설명했죠.
금융위원회의 승인이 문제로 대두되자, 영국 업체와의 협력 상황을 직접 어필하기 위해 영국으로 가겠다고 요청했어요.
금융위원장에게 한국과 영국 간의 핀테크 파트너십을 설명한 결과, 승인이 나와 출시 여건이 조성되었죠.
한국의 수직적인 문화에 대한 경험이 없었으며, 추진하려는 의지를 보일 경우 열린 마음으로 서포트 받고 있다고 느꼈어요..
 

아마존의 조직 문화는 어떤가요?

아마존에서의 조직 문화는 고객 중심의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하며, 업무 요청 시 항상 고객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이 특징이에요.
고객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불편 사항을 수집하고 해결 방안을 논의하며, 이에 따라 액션 아이템이 도출되죠.
아마존은 리더십 원칙에 따라 직원 평가를 진행하며, 이 또한 고객 중심성에 큰 비중을 둬요.
아마존회의는 모든 참석자가 미리 6페이지 분량의 문서를 읽고 피드백을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 비판적이고 객관적인 사고를 장려해요.
문서를 통한 의사소통은 생각을 정리하고, 집단의 의견을 잘 수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업무 프로세스로 기능하며, 이는 토론 문화의 성숙도와 연결되죠..
 

실리콘밸리의 업무 관리 방식은?

어른들은 비판과 피드백을 수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가져야 하며, 이를 통해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해요.
글쓰기 기반의 업무 방식을 도입한 결과, 팀원들이 명확한 정리와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죠.
실리콘밸리 기업들은 명확한 업무 목적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실행 계획을 세워 주기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요.
템플릿을 사용하여 업무를 분배함으로써 각각의 역할과 책임이 명확하게 구분되며, 이를 통해 조직의 투명성과 책임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죠.
한국의 업무 분배 시스템은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업무 프로세스의 설계와 적용이 필요하다고 강조돼요..
 

 

https://www.youtube.com/watch?v=F42oxFb9gfc

반응형